GA4 기본 채널 그룹과 맞춤 채널 그룹 활용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 4의 트래픽 그룹인 기본 채널 그룹과 직접 커스텀이 가능한 맞춤 채널 그룹의 설정 및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2년 12월, GA4에도 방문 페이지(Landing Page) 보고서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기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A)를 사용하시던 분들께는 익숙한 보고서일 수도 있지만, 오늘은 방문페이지 보고서를 활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
사용자가 맨 처음으로 ‘방문’한 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사용자들이 어떤 페이지를 통해 우리 서비스로 유입되었는지 이 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UA에서는 행동 > 사이트 콘텐츠 메뉴 안에 들어 있었고 GA4에서는 보고서 > 참여도 메뉴 안에서 방문 페이지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 서비스의 A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는 (1) A 페이지를 통해 우리 서비스에 처음으로 들어온 사람 (2) 다른 페이지를 통해 들어왔다가 A 페이지로 넘어온 사람, 이렇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1) 사용자 그룹의 데이터만을 따로 볼 수 있는 곳이 방문 페이지 보고서이고, 이 점이 모든 페이지 보고서와의 차이점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서비스를 살펴보다 보면 때로 다음과 같은 상황을 마주하기도 하는데요. 방문 페이지 보고서를 활용해서 이런 의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A4 방문 보고서를 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봤습니다.
GA4 방문 보고서는 UA 보고서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URL 뒤에 붙어있던 물음표 표시 이후의 값, 즉 쿼리 파라미터를 기재해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고서는 페이지 Path로 정갈하게 정리되어 나옵니다. 이 상황이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경우는 쇼핑몰 등에서 쿼리 파라미터로 상품 페이지 구분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시: https://example.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
다행히도 이 상황은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방문 페이지 열 옆의 (+)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세분화된 측정기준을 통해 쿼리 문자열을 불러올 수 있거든요. 이처럼 GA4의 방문 페이지 보고서는 테이블을 커스텀하지 않아도 편하게 분석이 가능한 기능이지만, 랜딩 URL 단위로 깊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기능 활용이 필요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문 페이지 보고서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측정항목은 (1) 조회수 (2) 새 사용자 수 (3) 세션당 평균 참여 시간 (4) 전환 (5) 총 수익 5가지입니다. 만약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가 커머스가 아니라면 수익 관련 측정항목은 필요가 없을 것이며, 분석자에 따라 방문 페이지 보고서에서 세션수 또는 총 사용자 수도 함께 보고 싶을 수 있겠죠. 그런 경우를 위해 기본 보고서의 측정항목을 커스텀 변경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측정항목은 우상단 연필 모양 <보고서 및 맞춤설정> 아이콘을 눌러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연필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2. 보고서 맞춤설정 사이드 메뉴가 열리면 <측정항목> 드롭박스를 선택합니다.
3. 기존에 세팅되어 있는 측정항목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또 <측정항목 추가> 를 선택하면 검색과 선택이 가능한 리스트가 한 번 더 열리게 됩니다.
4. 원하는 항목을 찾아 리스트에 올린 후 <적용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이때 측정항목의 순서도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5. <적용하기>를 누른 뒤 반드시 보고서 변경사항 저장도 해 주어야 합니다. <현재 보고서에 변경사항 저장>을 선택하시면 커스텀한 측정항목으로 방문 페이지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본 보고서라 할지라도 측정항목을 자유롭게 커스텀할 수 있다는 점이 GA4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의 정의와 차이가 궁금하시다면 관련 내용을 명확하게 정리해 둔 포스팅을 소개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사소하고 조금 재미있는 이야기를 드리려 합니다. 혹시 다음의 1번 박스처럼, 우리 서비스 GA4 스트림의 참여도 메뉴 안에 빈칸으로 보이는 리스트가 추가된 분이 계신가요? 빈 리스트를 선택해 보면 우리는 그게 바로 방문 페이지 보고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A4가 빠르게 업데이트되는 과정에서 미처 확인하지 못한 오류로 보입니다.(언어 설정을 영어로 바꾸면 메뉴명이 잘 나옵니다.) 일부 계정에서는 보고서 제목이 제대로 나오고, 일부 계정에서는 빈칸으로 나옵니다.
2번 박스도 마찬가지로 빈칸 오류입니다. 이 부분은 사실 오류인지 의도한 것인지 조금 모호합니다. 제목이 없는 이 리스트는 메인 홈페이지에 대한 데이터 행으로 보이고, 따라서 페이지 Path가 ( / ) 뿐이라 슬래시 또한 아예 생략하고 공란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는 까닭입니다. 납득할 수는 있지만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혼란스럽게 느껴졌습니다. 해당 데이터 행에 대한 정보를 전혀 주지 않아 파악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GA4 업데이트 과정 중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이해와 염려가 있는 분석자라면 더더욱 그렇지 않을까요? 😁 만약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받아 엑셀로 옮겨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공란에 별도 처리를 해 줘야 하므로 그런 의미에서도 불친절한 처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3년 7월 UA 종료까지 어느덧 반년 정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구글은 GA4 기능 업데이트에 더 박차를 가하는 듯합니다. 위와 같은 오류 사항들은 이 과도기에만 만날 수 있는 흥미로운 에피소드라는 생각도 듭니다. 🙂
오픈소스마케팅도 이처럼 빠른 개선과 성장을 지향합니다. 함께 성장하기 위해 작성한 이 포스팅이 GA4를 통해 방문 페이지를 분석하려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1 상담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