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유입경로 탐색 분석 기법을 이용한 퍼널 분석 가이드
구글 애널리틱스 4의 퍼널 분석 보고서인 유입경로 탐색 분석 기법의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GA4 유입경로 탐색은 웹사이트 유입 분석을 위한 보고서일까? 이 질문에 대답부터 이야기하자면 NO! 입니다. GA4 유입경로 탐색은 웹사이트 유입 소스를 보기 위한 차트가 아니라, 웹사이트에 유입된 사용자의 행동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 유형입니다.
이미 블로그에서 GA4의 다양한 탐색 차트 유형을 다루긴했지만, 아직도 유입경로 탐색에 대해서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여 Q&A 형식으로 유입경로 탐색 분석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 한 번 더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A4 유입경로 탐색 분석은 퍼널 차트입니다. 왠지 “유입”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니 어떤 채널을 통해서 우리 서비스에 들어왔는지 알려줄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아닙니다.

유입경로 탐색을 원어인 영어로 바꿔서 확인하면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영어로 설정한 GA4 계정에서 유입경로 탐색 보고서를 들어가면 “Funnel Exploration” 퍼널 탐색이라는 내용으로 보고서 이름이 확인됩니다. GA4의 유입경로 탐색을 다시 정의하자면 유입된 사용자들의 행동 단계를 탐색하는 보고서라고 정리해 볼 수 있겠네요.
앞서 얘기한 내용대로, GA4 탐색의 유입경로 탐색은 유입 분석을 위한 보고서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사용자의 웹사이트 유입 경로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어떤 보고서를 봐야할까요?
그때 확인해야 하는 보고서가 바로 GA4 보고서의 획득 보고서입니다.

트래픽 보고서에는 크게 사용자 획득 보고서와 트래픽 획득 보고서로 나뉘어있는데요, 각 보고서가 어떤 내용을 나타내는지 간단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획득 보고서 관련해서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오픈소스마케팅의 기존 글을 참고해 주세요.
유입 경로 탐색: 웹사이트 및 앱 서비스에 유입된 사용자의 행동 단계별 흐름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
사용 예시) 회원가입 단계별 사용자 이탈률 및 이탈 단계를 확인하고 싶을 때
획득 보고서: 웹사이트 및 앱 서비스에 유입된 경로에 따라 사용자 수, 참여 시간, 주요 이벤트 수 등의 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
사용 예시) 어떤 채널에서 유입된 사용자가 전환을 많이 발생시키는지 보고 싶을 때
사용자 획득과 트래픽 획득 비교
| 구분 | 사용자 획득 | 트래픽 획득 |
|---|---|---|
| 집계 기준 | 사용자 | 세션 |
| 보고서 측정 기준 | 신규 사용자 소스 신규 사용자 매체 |
세션 소스 매체 |
| 사용 상황 | 유입된 사용자가 특정 단계별로 행동을 완료하는지, 어떤 단계에서 이탈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 유입된 채널/소스에 따른 사용자, 참여, 이벤트 수 등의 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 |
유입경로 탐색에서 사용자 세그먼트별 완료율을 비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바로 세그먼트 기능을 활용하는 건데요. 아래 예시를 통해 사용자 그룹별 퍼널 완료율을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GA4 탐색 변수 목록 중 세그먼트에서 멤버 레벨이 Platinum인 사용자 그룹을 세그먼트로 생성합니다.

2. GA4 탐색 변수 목록 중 세그먼트에서 멤버 레벨이 Silver인 사용자 그룹을 세그먼트로 생성합니다.

3. 차트 설정에서 1, 2에서 만들어둔 세그먼트를 추가합니다.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간이 90일인데, 90일 정도면 모든 단계를 한 번쯤은 거치지 않을까? 다음 단계로 이어지는 시간이 최소 8시간 안에는 발생해야 진정한 완료가 아닐까? 하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다면 단계별 완료 시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단계별 시간제한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 나오는 내용을 차례대로 확인하세요.
1. 시간제한을 설정하려는 단계 아래 시계 모양을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 창에서 시간 제한 토글을 활성화합니다.

2. 제한을 원하는 시간 숫자와 단위를 설정하고 창을 닫습니다.

3. 시간제한 설정이 완료 되면 시계 모양이 파란색으로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입경로 탐색 분석 보고서를 만들고 확인하면 왼쪽 설정 창에 “개방형 유입경로 만들기”라는 토글 버튼이 있는 것 볼 수 있습니다. 과연 개방형 유입경로와 그 반대, 폐쇄형 유입 경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쉽게 이야기하면 조금 더 엄격한 단계별 완료 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조금 유한 기준으로 집계할 것인가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시작 단계와 상관없이 순서대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해당 페이지에 방문하면 집계에 포함
사용자의 방문 단계와 순서에 부합하는 사용자만 집계에 포함
설명만 봐서는 조금 이해가 어려울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개방형과 폐쇄형 차트의 집계 방식 차이를 사용자 유입 상황별 예시를 기반으로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개방형, 폐쇄형 모두 B단계에서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후 단계에 포함하지 않음
| 퍼널 단계 | A | B | C | D |
|---|---|---|---|---|
| 개방형 | O | X | X | X |
| 폐쇄형 | O | X | X | X |
다른 페이지/이벤트가 중간에 포함 되어있어도 순서를 만족하고 있어 개방형과 폐쇄형 모두 집계 포함
| 퍼널 단계 | A | B | C | D |
|---|---|---|---|---|
| 개방형 | O | O | O | O |
| 폐쇄형 | O | O | O | O |
| 퍼널 단계 | A | B | C | D |
|---|---|---|---|---|
| 개방형 | X | O | O | X |
| 폐쇄형 | X | X | X | X |
| 퍼널 단계 | A | B | C | D |
|---|---|---|---|---|
| 개방형 | X | O | O | X |
| 폐쇄형 | O | O | O | X |
이번 콘텐츠에서는 GA4 유입경로 탐색 분석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궁금증을 빠르게 해결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바로 서비스 맞춤형 이벤트 수집 환경 구축입니다.
GA4 맞춤 데이터 수집과 분석 활용을 원하신다면, 지금 GA4 전문 컨설팅 팀 오픈소스마케팅에 문의하세요.
1:1 상담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